zentyal 손쉬운 서버 구성을 위해 태어낫다



필자는 nas os 를 찾고 있었다 그런대 우리나라는 nas라는 개념도 잘알려지 않앗고 nas는 페키지형식(?) 으로 된 nas를 팔고있어서 그런지 사람들은 nas를 직접 만드는 사람은 별로 없엇다 그래도 그나마 만드는 사람들도 freenas라는 생소한 freebsd os 를 기점으로 둔 os 여서 어떻게 할줄도 몰랏던 뿐더러 웹서버 기능이나 다른 기능들은 지원하지 않았다 던군다나 쓰는 사람도 없어서 국내에는 네이버 nas카페의 freenas메뉴가 freenas의 커뮤니티 사이트 역활을 대신해주고 있다 하지만 그것도 별로 사용자가 없어서 간간이 사용기가 올라오는 것같다 

필자는 freenas를 팬티엄m이라는 구닥다리 삼성 센스p30 노트북에 설치해서 쓰고 있는데 이 노트북이 내장하드가 약 20gb 밖애 안되서 usb로 ide방식 120gb 하드 디스크를 붙처서 사용중이다 하지만 내가 원하던 다운로드 스테이션을 할려면 플러그인 을 설정해줘야 하는데 그것도 알길이 막막하다 (필자는 서버를 windows에서만 운영해봄) 리눅스도 별로 안만저 본 내가 무슨수로 freebsd라는 운영체제를 만저 보겟는가 그리하여 freenas는 완전 ftp서버와 윈도우 파일 공유 규격인 CIFE로 윈도우 컴에 연결하여 사용중에 있다

단순히 그냥 넷하드 일뿐이다

그리하여 보다 쉬운(?)리눅스 서버를 찾다가 발견한 zentyal 이다 국내에는 거이 알려지지 않는듯하다 그리고 nas를 넘어서 비지니스 서버os로도 접합한 os인것 같다 완전 다목적 서버로 쓸수있을듯 하다 

더군다나 프린터 서버를 지원한다고 한다 그리고 이게 우분투 서버를 기반으로 만든 운영체제여서 그래픽유저인터페이스 이고 역시 우분투라 쉽다(?)

뭐 다목적 가정용이나 중소기업 서버로 유용할듯 하다 외나면 지원하는 기능들이 완전 사무용이다 vpn서버,체팅서버,voip서버(음성체팅서버),dns서버,nas 기능들(ftp 등),메일서버,공유기 기능,웹서버 들을지원한다

아레는 홈페이지에서 퍼온 설치 가능(?) 페키지들이다

  • zentyal-antivirus
  • zentyal-asterisk
  • zentyal-ca
  • zentyal-dhcp
  • zentyal-dns
  • zentyal-ebackup
  • zentyal-firewall
  • zentyal-ftp
  • zentyal-ids
  • zentyal-jabber
  • zentyal-l7-protocols
  • zentyal-ltsp
  • zentyal-mail
  • zentyal-mailfilter
  • zentyal-monitor
  • zentyal-network
  • zentyal-ntp
  • zentyal-nut
  • zentyal-objects
  • zentyal-openvpn
  • zentyal-printers
  • zentyal-remoteservices
  • zentyal-samba
  • zentyal-services
  • zentyal-software
  • zentyal-squid
  • zentyal-trafficshaping
  • zentyal-users
  • zentyal-usercorner
  • zentyal-webserver
  • zentyal-radius
  • zentyal-webmail
  • zentyal-zarafa

zentyal는 우분투를 기반으로 한탓에 파이어폭스를 탑제하고 있다.

파이어폭스가 살작은 크롬보단 복잡해서 필자는 크롬을 쓰고 있지만 말이다


홈페이지는 두개 이던대 www.zantyal.com 하고 www.zentyal.org 인데 com은 유로버전을 팔고 있엇다 그리고 org는 그냥 다운로드만 무료버전 만 다운로드를 안내하고 있엇다 뭐 유료버전은 그냥 도와주는 서비스(?) 같은걸 해주는 것 같다

그냥 홈페이지 들어가서 다운만 받으면 될것 같다


위 기능들 말고도 우분투 기반이기 때문에 우분투 프로그램은 실행가능 할걸로 보인다

다음에는 설치를 써보도록 하겟다

클라우드 어디서 마음대로 접속해보자


클라우드 라고 하면 수만은 클라우드가 있다

클라우드는 간단히 말하면 인터넷 되는곳에서 마음데로 접속해서 사용하는것인데 

클라우드는 제가 알기론 현제 클라우드 컴퓨팅이라 해서 가상머신으로 가상서버를 구축하는 것을 클라우드라고 하고 웹하드 형식의 클라우드 라고 보면 될것같다 

그중에서 필자는 우선 웹하드 형식의 클라우드를 알아보려고 한다



네이버 n드라이브

네이버에서 제공하는 클라우드 다

우선 우리나라 최대 검색엔진에서 제공하는 클라우드여서 많은 사람들이 사용하고 있다

용량은 30gb로 그리큰편은 아니지만 클라우드 에서는 좀 큰편이다

네이버 아이디만 있으면 무료로 이용할수있으며

월5천원으로 100gb를 추가 해준다


다음 클라우드


역시 우리나라의 검색엔진 인 다음에서 만든 클라우드다

경젱사인 네이버 보다 늦게 클라우드 사업을 시작해서 그런지 50gb라는 큰용량을 

제공한다 그런대 늦게 시작해서 그런지 클라우드가 조금 부실하다 클라우드라는 게념이 올리고 내리기 만 하는게 아니라 실행도 하는 게념 같아서 실행이 잘되야된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다음 클라우드 같은 경우 모바일에서는 동영상 스트리밍이 되지 않는다

노래도 스트리밍이 안되는 걸로 알고 있다

 

올레(kt) 유클라우드


통신사 kt에서 제공하는 클라우드다 유클라우드는 통신사kt의 사업이며 kt에서 만들어

kt고객애게 제공하는 클라우드다 용량은 kt이용고객은 50gb로 다음클라우드와 같은 용량이며 다양한 부사서비스(?)가 있다 역시 통신사 답다 그리고 kt를 이용하지 않는 싸이트 회원에게는 2gb를 무료로 제공해준다 해외 클라우드 업체 보다 짜다

유클라우드는 네이버와 비슷한 시기에 클라우드사업을 시작햇던것 같다 유클라우드는 개발자를 위한 api를 제공한다 덕분에 유클라우드를 연동한 어플리케이션이있다

그리고 다른 국내 클라우드 사업체들과 달리 공유를 쉽게 할수있게 도와준다 메일로 파일 링크를 보내주며 파일링크도 만들수있다 업로드 용량 제한도 없다 하지만 원할하게 사용할려면 파일메니저를 설치해야한다는 단점이 있다


LGu+ u+박스


유플러스에서 만든 클라우드다 역시 통신사에서 만들어서 자기고객들에개 배포할려고만든 클라우드다 하지만 유플러스는 통이크다 사이트고객애개무려 10gb를 제공한다 짜게 2gb만 제공하는 누구랑 다르다 하지만 유플러스 이용고객은 15gb를 제공한다

유플러스박스는 좋은점이 동영상을 인코딩하게 해준다는 것이다 

지금은 옵티머즈 g이지만 옵원때 동영상을 토랜트로 핸드폰에서 받았는데 제생이 안된다는 매세지가 뜨는 것이였다 하지만 나는 이문제를 초기 스마트폰을 사용할때알앗기 떄문에  잘못랏다 그땐 아무리 보급이라고 해도 막 컴퓨터 대용으로 쓸러고햇으니까 말이다

옵원은 동영상 제생 해상도가 640*480이엿던것 같아 나는 그걸알고 엘지를 욕햇다 그래서 핸드폰에서 인코딩을 하는 법을찾다가 요런 어플을 찾았다 그걸로 폰으로 다운받고 유플러스 박스에 다시 업로드하고 인코딩 한다음 스트리밍해서 보앗던 기억이 난다

요즘에는 카톡하고 제후를 맺어서 카톡으로 대용량 동영상을 전송할수있다고 한다 이건 왠지 조인땜시 임시방편으로 이때다 싶어서 유플러스가 카톡이랑 제후맺고 고객수를 늘릴려고 하는것 같다


sk텔레콤(t) t클라우드

통신사t에서 만든 클라우드이다 t클라우드는 좀 별로 되지않은 클라우드인데 안내페이지가 적어서 달리설명할수가 없는대 뭐 저장용량은 10gb이고 동영상스트리밍도 지원한다

그리고 티클라우드는 전화번호부랑 사진등 자동 동기화를 지원한다


lg전자 lg클라우드

엘지전자에서 만든클라우드다 생긴지 얼마안된 클라우드이다 lg전자제품을 가지고있는 회원은 6계월동안 50gb를제공한다 그6개월이 끝나면 달랑5gb만 준다 그리고 엘지전자 제품을 사용하지 않으면 걍 2gb만 준다 해외기업도다 더짜다 

그래도lg에서 꽤나 그럭저럭 만든점에서는 괜찬타고 본다







국내 클라우드 는 나중에 추가하도록 하고 해외클라우드 도 나중에 추가하도록 하겟다






+ Recent posts